본문 바로가기

그리스로마신화6

별자리 이야기 - 쌍둥이자리 쌍둥이자리는 황도 12궁의 하나로 북반구인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철에 관측이 쉬운 별자리이다. 북반구에서 쌍둥이자리가 가장 하늘높이 떠오르는 시기는 겨울이다. 보통 11월부터 2월 사이에 관측하기 좋다. 이 시기에는 저녁 시간에 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떠오르며, 밤이 깊어질수록 더욱 높이 올라간다. 1월 중순이 가장 높이 떠오르는 때이다. 남반구에서 쌍둥이자리는 여름철에 가장 높게 떠오른다. 보통 5월부터 8월 사이에 관측하기 좋다. 이 때에는 저녁 시간에 서쪽 지평선 근처에서 떠오르며, 밤이 깊어질수록 더욱 높이 올라간다. 7월 중순이 가장 높이 떠오르는 때이다. 쌍둥이자리의 알파별은 카스토르이며 1.6등성 이고, 지구에서 약 45광년 떨어져 있다. 쌍둥이자리의 베타별은 폴룩스로 1.2등성이고, 지구에서.. 2023. 6. 22.
별자리 이야기 - 백조자리 백조자리는 여름철 북쪽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은하수상에 위치하여서 그 아름다움이 더욱 특별하다. 백조자리는 큰 십자가 모양을 하고 있어서, 북십자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겨울철 밤하늘에서는 북십자성이 똑바로 선 것처럼 보인다. 백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별인 데네브이며 약 1.3등성으로 1등성중에는 어두운 편에 속한다. 데네브 근처에는 북아메리카 대륙의 모양을 닮은 북아메리카 성운이 위치하며, 그 오른쪽으로는 펠리컨 성운도 위치한다. 데네브는 태양보다 약 1,420배 크다. 북아메리카 성운은 지구에서 약 2,3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름이 약 80광년인 가스덩어리 성운이다. 펠리컨 성운은 지구에서 약 2,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름이 약 40광년인 가스덩어리 성운이다. 백조자.. 2023. 6. 19.
별자리이야기 - 궁수자리 궁수자리는 황도12궁 중 하나로 여름철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별자리이다. 우리은하의 중심부가 궁수자리에 위치하기에 은하수 상에서 볼 수 있다. 궁수자리는 2개의 2등성과 5개의 3등성 등, 밝은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위치만 정확히 안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궁수자리는 은하의 중심에 있어서 많은 수의 성단을 보유하고 있다. 산개성단은 M18, M21, M23 등이며, 망원경과 쌍안경 등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구상성단은 M22, M28, M69, M70등이며, 특히 M22의 경우 쌍안경으로 쉽게 관측이 가능하다. 궁수자리의 활시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주전자 모양을 닮아서 주전자 성군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주전자 성군과 궁수의 머리에 해당하는 별까지 연결하면, 북두칠성을 뒤집은 모양과 비슷하다.. 2023. 6. 13.
별자리이야기 - 게자리 게자리는 밝지 않은 밤에 희미하게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구성하는 별들이 모두 어두운 별이기 때문이며, 가장 밝은 별이 4등성으로 황도12궁중 가장 어두운 별자리에 속한다. 게자리는 황도12궁중 4번째 별자리이다. 게자리의 중심. 즉, 게의 몸통에는 프레세페성단(Praesepe cluster)이라는 산개성단이 자리하고 있다. 프레세페 성단은 비교적 젊은 별들이 구성되어 있어서, 푸른빛을 띈다. 지구에서 거리는 약 520광년이고, 지름은 14광년이다. 프레세페 성단은 Beehive성단이라는 영어이름이 있으며, 우리말로는 벌집성단이다. 게자리 왼쪽 위아래로 뻗은 줄기가 게의 큰 앞발 두개를 상징한다. 오른쪽 아래의 줄기는 게의 뒷다리 혹은 몸통의 종료점이라 볼 수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게자리 제우스.. 2023. 6. 12.
별자리 이야기 - 사자자리 봄철 밤하늘을 보면 쉽게 볼수 있는 별자리중 하나는 사자자리 이다. 생일 별자리로는 7월 23일~ 8월 22일 생에게 해당하는 별자리이다. 사자자리의 알파별은 레굴루스(Regulus)이며, 사자의 심장에 위치한다. 약 1.4등성으로 밤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레굴루스는 이중성이기 때문에 망원경 등으로 보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별이 옆에 있다. 위 이미지의 우측 상단이 사자의 머리, 우측 하단 두개는 사자의 앞다리. 좌측 끝은 사자의 꼬리이다. 매년 11월 중순이 되면 사자자리의 목부분인 Algieba 근처에서 많은 유성우를 목격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자자리 유성우" 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사자자리 사자자리는 지난 포스팅인 헤라클레스 자리와 인연이 깊은 별자리이다. 헤라의 원한.. 2022. 10. 10.
별자리 이야기 - 헤라클레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그리스 로마 신화속 힘의 상징 헤라클래스. 여름철 별자리 중 하나이다. 별자리의 모양은 위 사진을 뒤집어서 생각하면 된다. 헤라클래스가 12가지 과업 중 히드라를 잡는 장면일 것으로 추측된다. 한손에는 히드라의 목을 움켜쥐고, 다른 손에는 올리브나무 방망이를 치켜든 형상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헤라클레스 자리 헤라클레스의 아버지 제우스는 미케네의 왕비 알크메네에게 반하였다. 미케네의왕 암피트리온이 전쟁을 하러 나간뒤, 암피트리온으로 변장한 제우스가 알크메네와 잠자리를 가진다. 그는 알크메네에게 자신의 자식을 갖게하려고 밤의 길이를 세배로 늘리며 사랑을 나누었다고 한다. 다음날 전쟁에서 돌아온 암피트리온은 아무것도 모른채 알크메네와 사랑을 나누었고, 알크메네는 두 아들을 잉태한.. 2022. 10. 9.